2025.05.01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산불에 ASF까지 ‘초비상’…과학적 기법 맞춤형 대책 추진

정부, ‘봄철 야생 멧돼지 ASF 확산 저지 긴급대책’ 시행

열화상 무인기 GPS포획 트랩 1500개 배치

야생멧돼지 포상금 부정행위 방지 SOP 개정

 

산불로 야생 멧돼지들이 서식지를 옮기면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확산할 우려가 커져 정부가 긴급대책을 시행한다.


환경부와 농식품부는 지난 3일 경북 산불 피해지역에 ‘봄철 야생 멧돼지 ASF 확산 저지 긴급대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봄은 멧돼지 개체수가 늘어나는 시기로, 산불이 아니더라도 야생 멧돼지에 의해 ASF 확산 가능성이 큰 시기다.
정부는 ASF 확산 저지선이 설정된 경북 구미·김천·칠곡·청도와 충북 옥천·영동에 밤에도 멧돼지를 식별할 수 있는 열화상 무인기 10대, 위치정보시스템(GPS)가 달린 포획 트랩 1500개를 배치하기로 했다.
또 먹이터 5곳을 조성, 멧돼지를 유인해 포획하기로 했다. 아울러 멧돼지 폐사체 수색에 특수훈련된 탐지견 12마리를 투입한다.


ASF 확산 방지 울타리 점검·보수도 진행하며 양돈농가 주변 농경지 등에서 시료를 채취해 ASF 바이러스가 있는지 사전에 점검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수렵인과 사냥개 등 ASF를 전파할 수 있는 다른 매개체에 대해서도 모니터링을 강화할 계획이다.


정부는 야생 멧돼지 포획 후 시료를 나눠서 포상금을 중복으로 신청하는 등 부정행위를 막기 위해 ‘야생 멧돼지 ASF 표준행동지침(SOP)’도 개정하기로 했다.
야생 멧돼지 ASF 감염 사례는 2019년 10월 이후 4241건 나왔다. 작년 6월 경북 군위에서 감염 사례가 나온 뒤 현재까지 추가 사례는 없다.


김태오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대규모 산불과 영농철 활동 증가로 ASF 전파 위험이 높아졌다”며 “과학적 기법을 도입해 맞춤형 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최정록 농식품부 방역정책국장 역시 “야생 멧돼지 생태 변화가 농장 방역에 위협이 될 수 있다”며 “환경부와 협력해 방역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