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학교 연구진이 돼지유행성설사병(PED) 백신 개발의 성공 가능성에 가깝게 다가선 것으로 알려졌다.
전북대학교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 감염병예방실험실은 국내 유행형 G2b 바이러스를 분리·약독화해 안전성과 효능을 검증하고, PED 백신 후보주를 선발했다고 지난 17일 밝혔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 김대민 연구원(지도교수 탁동섭)은 ‘제11회 아시아 돼지수의학회 학술대회’에서 포스터 어워드를 수상했다. 전북대 연구진은 효과적인 백신 개발을 목표로 국내에서 유행하는 G2b 계열 바이러스를 분리한 뒤 다양한 방법으로 약독화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약독화된 바이러스는 실험 결과 고역가를 유지하면서 어린 자돈에게 병원성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효능평가에서는 백신 접종군 자돈의 생존율이 대조군보다 높고, 설사 증상도 완화되는 결과를 얻었다. 이를 통해 연구진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백신 후보주를 선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김대민 연구원은 “국내에서 실제로 유행하는 G2b 계열을 바탕으로 약독화 방법을 다각도로 검증한 것이 주효했다”며 “무엇보다 어린 자돈의 생존율을 높이고 설사 증상을 완화시키는 결과를 확인한 점에서 큰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향후 산업화를 통해 현장에 실제로 적용될 수 있도록 동물용의약품제조업체와 공동협력을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