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돈 개량의 초점이 기존 생산성 중심에서 육질 중심의 품질 경쟁력 강화로 이동될 전망이다.
한국종축개량협회는 최근 열린 ‘2025 종돈개량세미나 및 2024년도 종돈능력검정 보고회’에서 지난해 농장검정 결과 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최임수 종돈개량부 팀장은 “데이터 기반의 현장 검정이 농가 단위로 정착되면서 종돈의 유전능력과 생산성이 꾸준히 향상되고 있다”며 “앞으로는 육질 개량의 핵심인 올레인산을 활용해 소비자 중심의 개량체계를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는 소비 트렌드의 다변화와 함께 고급육 수요가 늘고, 외국산과의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종돈의 품질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변화이기도 하다.
협회는 이를 위해 ‘돼지개량네트워크 구축사업’을 중심으로 근내지방(IMF), pH, 육색, 올레인산 함량 등 육질형질 중심의 질적 개량체계를 추진한다. 농장 단계에서는 초음파를 활용해 근내지방도를 측정하고, 도축장 단계에서는 냉도체 육질판정과 이화학검사를 병행해 데이터를 확보한다. 이렇게 축적된 정보는 협회의 유전능력평가 DB에 통합돼, 품질 중심의 유전평가 모델 개발에 활용될 예정이다.
최임수 팀장은 “일본은 도체의 올레인산 함량을 분석해 ‘신슈 올레인산 돼지’ 같은 브랜드를 육성하고 있다”며 “국내에서도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고품질 개량으로 소비자 신뢰를 높이는 방향으로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