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한돈협회 청년분과위원회(위원장 도영철)는 지난달 22일부터 24일까지 2박 3일간 제주 일원에서 ‘2025 청년한돈인 선진지 견학’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견학은 차세대 한돈산업을 이끌어갈 청년 농업인의 전문역량 강화와 네트워크 구축을 목표로 추진됐다. 행사에 참여한 청년 한돈인 40여명은 수출 중심의 가공·유통 시스템부터 환경·악취 관리까지 선진 양돈기술을 폭넓게 체험하고 의견을 나눴다.
특히 축산시설 악취 민원과 환경규제 대응이 주요 현안으로 떠오른 제주에서 진행된 만큼, ‘구제역 청정지역 인증 유지 전략’과 ‘악취 저감 관리 방안’은 청년 농가들에게 현실적 대안을 모색하는 중요한 기회가 됐다.
첫날 견학단은 제주특별자치도 축산생명연구원을 찾아 김대철 원장으로부터 제주흑돼지의 보존·관리 현황을 설명 듣고 연구시설을 둘러보며 지역 특화산업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
둘째 날에는 제주양돈농협 회의실에서 △제주 축산현황 및 구제역 청정지역 인증 추진(제주도청 동물방역과 김주아 팀장) △냄새 민원 대응 및 제주형 친환경 양돈정책(강동근 주무관) △수출 현황과 애로사항(제주양돈농협 현정훈 팀장) △유통센터 운영 현황과 도축 과정(김형준 부장) 등 종합 강연에 이어, 제주양돈농협 가축분뇨공동자원화공장을 방문해 정화수·냄새 저감 시설을 살펴보며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을 체험했다.
마지막 날에는 제주악취관리센터에서 조영덕 악취연구실장(한돈협회 축산환경컨설턴트)의 설명 아래 시료 채취·분석 방식과 냄새 저감시설 관리 방안을 배우며 교육을 마무리했다.
도영철 청년분과위원장은 “이번 견학을 통해 청년 한돈인들이 선진 양돈기술과 친환경 관리 시스템을 직접 체험하고 동료들과의 네트워킹을 강화하는 소중한 기회가 됐다”며 “앞으로도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속 운영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