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아산시가 영인면 소재 양돈농가 2개소에 총사업비 3000만원을 투입해 ‘악취저감 시스템 구축 시범사업’을 추진하는 등 악취 문제 해결에 선도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에 아산시는 축산현장에서 발생하는 악취로 인한 민원 발생을 최소화하고 이웃과 함께 사는 도농복합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악취저감 시스템 구축 시범사업’을 추진 중이다. 특히 도시화로 인한 각종 개발 및 귀농·귀촌 인구 유입 등으로 축산 악취 민원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양돈농가 주변 주민과의 갈등이 지역 최대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아산시가 추진하는 악취 저감 장치는 돈사 배기구에서 나오는 악취를 포집해 세정탑을 통과시켜 오염물질을 물에 흡수시킨 후 용해된 오염물질을 포함한 물의 악취를 미생물 활동으로 제거하는 방식으로, 시범 도입한 양돈농가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김정규 아산시농업기술센터 소장은 “양돈장의 악취 발생 최소화를 위해 축산악취저감제 지원, 악취저감 신기술 도입 등을 확대하고 악취민원 발생농가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할 계획이다. 쾌적한 주거환경을 염원하는 지역주민의 기대에 부응하고 축산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농경연)은 지난 3일 돼지관측을 통해 10월 이후 도축 마릿수 증가로 4분기 도매가격은 하락세가 전망되고, 하반기 수입량은 늘어날 것이라고 예측했다. 농경연에 따르면 10월 이후 도축 마릿수는 평년과 전년 대비 증가가 예고됐다. 10월은 156만~160만 마리(2020년 154만, 평년 156만 마리), 11월은 165만~169만 마리(2020년 161만, 평년 162만 마리), 12월은 167만~171만 마리(2020년 169만, 평년 156만 마리)로 추정됐다. 10~12월 사육 마릿수가 평년 수준이지만, 생산성 향상으로 도축 마릿수는 늘어날 것으로 분석된 것이다. 도축 마릿수가 증가하며 4분기 돼지 도매가격은 하락세가 전망된다. 추석 수요와 재난지원금 지급 등의 영향으로 9월엔 평년(4802원/kg)보다 200~400원 높은 5000~5200원으로 전망됐지만, 이후 10월과 11월엔 각각 3900~4100원(평년 3953원), 4100~4300원(평년 4065원)으로 전망되며 평년 대비 소폭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12월엔 돼지 도매가격이 3800~4000원에 그쳐 3973원이었던 평년보다 시세가 낮을 가능성이 클 것
충남 천안시가 조달청 주관 2021년 1차 혁신 시제품 테스트 기관으로 선정됨에 따라 오는 12월까지 관내 양돈농가에 3000만원 상당의 ‘비접촉식 양돈 모바일 체중 관리기’를 무상으로 시범 도입한다. 이번에 도입되는 ‘비접촉식 양돈 모바일 체중 관리기’는 3D 카메라를 활용한 돼지 체중 측정기로 출하시 ICT 기술을 활용해 돼지와 접촉하지 않고 1m 내외로 떨어져 체중측정이 가능하다. 기존의 목측(目測) 또는 돈형기 등을 이용한 체중 측정의 경우 시간과 노동력이 많이 필요하고 정확도도 떨어져 출하 후 돼지가격 정산과정에서 패널티를 적용받는 경우도 있었다. 천안시는 이번 체중관리기 도입으로 체중 계측 시간과 비용을 대폭 줄이며 출하체중 미도달 등으로 인한 패널티 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어 양돈농가들의 큰 호응을 얻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혁재 시농업기술센터 소장은 “ICT 신기술을 접목한 축산장비 보급으로 돼지 출하시 노동력 절감 및 출하 등급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현장 실증 후 시범사업으로 확대해 축산현장의 애로사항을 해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립축산과학원은 농가에서 임신돼지를 함께 기를 때 지나친 먹이·서열 경쟁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최근 제시했다. 국립축산과학원에 따르면 연구결과, 돼지 육성기 때 4개월간 사회성 훈련을 실시하고, 임신 중 군사(무리 기르기) 면적을 조절하면 경쟁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성 훈련 여부에 따라 훈련을 한 임신돼지는 훈련을 하지 않은 돼지에 비해 피부상처가 41.5% 적었다. 사회성 훈련은 10주령부터 26주령까지 한 달 단위로 다른 돈방(돼지방)의 돼지와 섞어 기르며, 낯선 개체를 자주 접하게 하는 방식으로 실시했다. 임신 기간 동안 넓은 공간(2.3㎡)에서 키운 돼지는 좁은 공간(1.9㎡)에서 키운 돼지에 비해 피부상처가 평균 32% 적었다. 이를 종합해 보면, 사회성 훈련을 실시하고 넓은 공간(2.3㎡)에서 사육한 돼지는 훈련을 하지 않고 좁은 공간(1.9㎡)에서 사육한 돼지보다 피부상처가 64.9%나 적었다. 한편, 지난해 1월부터 시행된 ‘축산법 시행령·규칙’에 따라 신규로 가축 사육업 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교배한 날부터 6주가 경과한 임신돼지를 군사 공간에서 사육해야 한다. 모든 양돈농가는 2029년 12월 31일까지 이
웅취가 적은 동물복지형 종돈이 개발돼 앞으로 거세를 하지 않아도 될 전망이다.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은 골든 시드 프로젝트(GSP) 사업으로 수컷 자돈을 거세하지 않고도 수컷냄새가 적은 동물복지형 신계통 종돈을 개발했다고 지난 18일 밝혔다. 돼지 수컷 특유의 냄새(웅취)는 소비자가 선호하지 않기 때문에 생후 7일 이내에 외과적 시술로 거세해 웅취를 없애고 있다. 유럽연합(EU)은 올해 12월 31일부터 동물복지측면에서 마취없는 자돈거세를 독일과 프랑스에서 금지시킬 예정이다. ㈜정P&C연구소는 농협경제지주 종돈개량사업소와 2014년부터 두록·요크셔·랜드레이스의 3개 순종 돼지에 대해 웅취의 주요 요인 호르몬인 안드로스테논·스캐톨·인돌의 화학적 농도가 낮은 개체를 선발해 계통을 만들어 왔다. 그 결과 안드로스테논 농도는 2014년에 비해 42~48%, 스캐톨 농도는 37~52%로 낮아지고 있다. 따라서 웅취호르몬 농도가 낮은 순종 돼지에서 생산한 수컷의 경우, 거세를 하지 않더라도 소비자들이 인식할 수 없을 정도로 냄새가 사라진다. 이렇게 되면 거세할 필요가 없어 거세시 발생되는 위축 돼지 및 세균에 의한 질병 감염을 예방할 수 있고 거세돈보다 성장속도와 사료효
국립축산과학원은 ‘돼지개량네트워크 구축사업’을 통해 유전능력이 뛰어난 한국형 씨돼지 11마리를 선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국립축산과학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에 뽑힌 씨돼지는 아비(부계) 쪽 ‘두록’ 3마리, 어미(모계) 쪽 ‘요크셔’ 6마리와 ‘랜드레이스’ 2마리다. 이번에 선발된 부계 씨돼지의 90kg 도달일령은 참여 종돈장 전체 씨돼지 평균보다 26.9일 빨랐다. 또한, 모계 씨돼지의 생존 새끼 수는 참여 종돈장 전체 씨돼지 평균보다 ‘요크셔’는 2.8마리, ‘랜드레이스’는 1.7마리 많았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주관하는 ‘돼지개량네트워크 구축사업’은 각 종돈장이 보유한 씨돼지를 평가해 우수 유전자원을 공동 활용함으로써 한국형 씨돼지를 개량하는 사업이다. 국립축산과학원이 사업 관리와 국가 단위 유전능력 평가를 담당하고, 한국종축개량협회가 사업 추진과 능력검정을 맡고 있다. 이 사업에는 전국 17개 씨돼지 농장과 돼지인공수정센터 3곳이 참여하고 있다. 지난해까지는 연 2회에 걸쳐 총 14마리의 씨돼지를 선발했으나 올해부터는 선발 횟수를 늘려 연 4회 총 20마리를 선발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1/2분기 11마리를 선발했고, 3/4분기에 9마리를 추가로 선발할 계
충남 예산군이 충남도와 함께 고능력 우수종돈 지원을 통한 정액 생산으로 고품질 규격돈 생산을 적극 지원하는 가운데 상업용 듀록 돼지의 육종 개량에 성공했다. 예산군은 올해 신양면 소재 예산양돈영농조합법인 AI센터(돼지유전자센터)에 캐나다산 듀록돼지 종돈 16마리 구입비를 지원했다. 오는 10월에는 나머지 17마리에 대한 구입비를 지원해 모두 33마리의 구입비를 지원하고 50여 농가에 정액을 공급할 계획이다. 대술면 소재 호은팜스(대표 박경원) 농장은 듀록돼지 정액을 이용해 7년간의 노력 끝에 낮은 생산성을 극복하고 상업용으로 손색없는 듀록돼지 육종에 성공했다. 소비자가 가장 흔하게 접하는 돼지고기는 삼원교잡종으로 요크셔(부계)와 랜드레이스(모계)에서 태어난 1대 잡종과 세계 3대 고급육 품종인 듀록돼지를 아비종으로 교잡해 탄생하고 있다. 박경원 대표는 “상품성이 뛰어난 듀록돼지 생산에 일반 양돈농가의 참여가 필요한 만큼 많은 참여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황선봉 예산군수는 “이렇게 오랜 기간 육종 개량을 통해 품종개량을 이뤄낸 농장주의 노고에 깊은 감사의 뜻을 전한다”며 “일반 양돈농가에서도 많은 관심을 갖고 동참해달라”고 당부했다.
농식품부, 사료 등 기준·규격 일부사항 개정고시 추진 국내 유통사료 조단백질 함량, 선진국보다 5~6% 높아 1% 줄이면 온실가스 연간 35만톤 감축…사료비도 절감 정부가 축산악취와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가축용 사료의 조단백질 함량을 제한키로 했다. 사료에 들어있는 잉여질소를 줄임으로써 악취저감과 온실가스 감축, 사료비 절약 등 1석3조의 효과를 내기 위한 것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주요 양축용 배합사료 내 조단백질 함량을 제한하기 위해 사료 등의 기준·규격에 관한 사항을 개정할 계획이라고 최근 밝혔다. 이번 제도개편은 사료업계의 조단백질 함량에 대한 과열 경쟁을 지양하고 적정 단백질사료 공급을 통해 가축분뇨 내 잉여질소의 배출 저감이 목적이다. 그간 축산 현장에서는 생산성에 치우친 양적인 사양관리로 축산악취와 온실가스 문제 등에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양돈사료 내 조단백질을 1% 감축할 경우 분 배설량이 약 2% 감소하고, 축산악취의 원인물질인 암모니아 가스가 최대 10%까지 저감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단백질 함량 1%를 감축하면 퇴비 부숙과정에서 발생하는 아산화질소(N₂O)를 낮춰 CO₂ 환산량으로 연간 온실가스 35만500
국립축산과학원은 고온다습한 여름철을 맞아 돼지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돈사 안의 적정 습도 유지와 청결한 사료 관리를 당부했다. 최근 국립축산과학원에 따르면 덥고 습한 날씨는 돼지의 고온스트레스 발생 위험을 높이고 이는 생산성 감소로 이어진다. 또한, 습도가 높으면 병원균과 곰팡이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위생관리에도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 여름철에는 같은 온도라도 습도가 높으면 돼지가 받는 고온스트레스가 많아지므로 내부 습도를 50~60% 수준으로 유지해 준다. 돈사 내부 습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송풍팬을 활용해 환기량을 최대로 높여주거나, 냉방장치를 가동한다. 물을 이용해 고온스트레스를 낮춰주는 안개분무, 냉각판(쿨링패드) 등의 장치는 실외 습도가 80% 이상일 때는 사용하지 않는 편이 낫다. 온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신선한 사료라도 병원균, 곰팡이와 같은 유해 미생물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사료저장고(사료빈), 먹이통(급이기) 등은 깨끗하게 관리해야 한다. 돈사 외부 사료저장고에 있는 사료는 5일 안에 돼지가 다 먹을 수 있도록 사료 주문량과 간격을 줄여 신선한 상태로 준다. 사료저장고의 구동부와 연결관(이송라인)은 빗물이 새 들어갈 틈과 구멍은 없는
제주도는 최근 조달청 나라장터에 5000만원 규모의 ‘제주돼지 적정 사육규모 설정을 위한 연구 용역’을 공고했다. 제주에서 돼지의 적정 사육 규모를 설정하기 위해서다. 그동안 법마다 면적당 규정하고 있는 사육마릿수가 달라 정책 집행자인 행정도 혼란을 겪어왔다. 제주도에 따르면 지난해말 기준 사육규모는 52만3450마리다. 사육시설 허가면적은 56만1916㎡다. 적정 사육규모는 축산부서가 다루는 축산법을 적용하면 71만1286마리, 환경부서가 적용하는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근거할 경우에는 40만1368마리다. 두 법간 적정 사육규모는 약 30만마리로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 제주도는 용역을 통해 오는 11월까지 △가축사육 밀도·가축분뇨처리 실태 조사 △사육밀도에 따른 수익성 비교 분석 △양돈산업이 제주경제에 미치는 영향 △지역환경·주민생활·연관산업 등을 고려한 적정 사육기준 산정 △적정 사육규모 설정에 따른 농장별 이행 및 이해관계자 간 충돌 완화 방안 마련 등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그동안 법이 달라 부서마다 돼지 사육두수를 두고 혼란을 겪어온 것이 사실”이라며 “양돈산업을 유지하고 청정제주를 보존하기 위해 제주지역에 적합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