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전망 2021’ 올해 5월 출하 가능 사육수 1055만마리 도매가, 도축수 줄어 4200~4300원 예상 수입량, 수입도매원가 하락으로 증가 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최근 ‘농업전망 2021’을 통해 올해 한우 사육 마릿수는 가임암소와 송아지 생산 마릿수 증가로 지난해보다 2.5% 증가한 328만1000마리로 예상했다. 또한, 올해 전국 평균 한우 도매가격(원/㎏)은 지난해 대비 7.9% 하락한 1만8320원으로 전망했다. 특히, 올해 1분기 도매가격은 가정 내 소비 지속과 설 성수기 선물세트 수요 증가 등으로 지난해 대비 강보합세가 예상되지만, 출하가능 마릿수가 점차 많아지는 하반기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하락세를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농가에서 관심 있는 주요 내용을 살펴봤다. ■ 번식의향 및 한우 사육 전망 2021년 송아지 생산 마릿수는 2020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송아지 가격상승으로 농가의 번식의향이 높아 2020년 한우 정액 판매량은 전년 대비 12.6% 증가한 236만 스트로우였다. 한우 정액 판매량 증가로 2021년(11월까지) 송아지 생산잠재력 지수는 2020년 대비 7.5% 상승하였다. 2021년 한
농림축산식품부 내에 별동대 형태의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전담 부서를 신설할 정도로 현재 상황이 엄중하다. 이에 농식품부가 ASF 방역 정책 등 전담 조직 신설을 준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농식품부 관계자에 따르면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와 협의를 마무리하고 ASF 조직 신설을 확정한 것으로 전했다. 기획계장(사무관)과 주무관 그리고 환경부 파견 공무원 총 3명으로 구성되는 ASF 전담 조직은 구제역방역과 내 계로 2월 말 또는 3월 초 들어설 전망이다. 특히 ASF 전담 조직 신설은 ASF 중앙사고수습본부장(중수본)을 겸임하고 있는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의 강한 의지에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다. 김 장관은 신년사에서 “올해 관련 법령 개정 등 사전 방역 방역체계를 더 공고히 하겠다”며 ASF를 비롯해 선제적 가축질병 방역을 강조한 바 있다.
농식품부, 청탁금지법 완화·선물보내기운동 효과 과일 97%·축산물 28% 등 모든 품목 선물 매출액 증가 설 명절 기간 농식품 선물가액을 10만원에서 20만원으로 상향한 효과와 함께 고향 선물보내기 운동이 확대되면서 농식품 선물 매출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는 12개 주요 유통업체 대상으로 지난 1월 4일~1월 24일 기간의 농식품 선물 판매 동향을 조사한 결과, 농축수산물 선물 매출액은 작년 설 같은 기간과 비교해 56% 증가(805억원→ 1,259)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일 밝혔다. 사과·배 등 과일이 97%, 한우 등 축산물 28%, 인삼·버섯 등 기타 농축산물 22%, 굴비·전복 등 수산물 78%, 홍삼·젓갈 등 가공식품 63% 등 모든 품목에서 선물 매출액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대별로는 농식품 선물가액 상향 범위인 10~20만원대 선물 매출이 큰 폭으로 증가(31% 증가)하고, 5~10만원대(112% 증가)와 20만원 초과(14% 증가) 선물도 크게 증가했다. 10~20만원대에서 사과·포도(샤인머스캣)·밀감(한라봉) 등 과일 14%, 한우 등 축산 22%, 인삼 등 기타농축산이 127% 증가하고, 20만원
37개 한돈 브랜드 참여…신선육·가공육 세트까지 다양하게 구성 15일까지 구매시 ‘얼리버드 15% 할인’ 등 다양한 할인 혜택 제공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가 오는 2월 12일 설 명절을 앞두고 온라인 공식 쇼핑몰 ‘한돈몰’을 통해 ‘한돈 설 선물세트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13일 밝혔다. ‘한돈 설 선물세트 캠페인’은 국내산 돼지고기 한돈의 이미지를 높이고, 건강한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해마다 진행하고 있는 행사다. 올해는 ‘한돈으로 전하는 마음’을 컨셉으로 코로나19의 확산과 장기화로 인해 어려움과 불안감을 겪는 모든 이들에게 밥상 위의 국가대표, 건강 밥상 면역푸드인 우리 돼지 한돈이 건강함과 따뜻한 마음을 담아 멀리 떨어진 우리 가족, 이웃,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그 마음을 전할 수 있도록 선물세트를 기획했다. 총 37개의 한돈 브랜드가 참여하는 이번 행사에서는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도록, 삼겹살, 목살 등 신선육 뿐만 아니라, 햄, 소시지 등 가공육 세트까지 다양하게 구성했다. 특히 1만원대 부터 10만원 대까지 다양한 가격대로 구성된 한돈 선물세트를 합리적인 가격에 선보이고, 구매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혜택과 이벤트를 진행한다. 15일까지 ‘얼리버드 1
‘스마트 환기 통합 플랫폼’ 구축으로 농장 환경상태 확인가능 지붕용, 벽체용, 중앙배기식 냄새 제거용 등 어디에도 사용가능 ■ 최소·최대 환기량 동시 제어할 수 있는 메저링 환기팬 절대 필요 ㈜대로는 농림축산식품부의 ICT 융복합사업에 맞추어 환경관리 플랫폼을 개발하여 수십농가에서 사용하고 있다. ‘스마트환기팬’이 중앙 컨트롤러에 연결되고, 중앙 컨트롤러를 중앙 컴퓨터에 연결하여 사무실에서 모든 돈방의 환경 상태를 보고 제어할 수 있다. 이 기능이 스마트폰에 연결되어 언제 어디서든 돈방의 환기 상태를 보고 제어할 수 있도록 종합 환경관리 플랫폼을 개발하여 여러 농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주)대로에서 판매하고 있는 ‘스마트환기팬’은 지붕용, 벽체용, 중앙배기식 냄새 제거용 등 어디에도 사용할 수 있다. 지붕용은 (주)대로에서 자체 개발한 스테인리스 스틸굴뚝을 이용하여 돈사의 지붕에 굴뚝을 설치하고 돈방의 적정 높이(약 2.5m)에 ‘스마트환기팬’을 설치한다. 만일 농장에서 지붕팬을 쓰고 있다면 기존 굴뚝은 그대로 사용하고 기존 굴뚝과 ‘스마트환기팬’을 결합할 수 있는 스테인리스 연결 쇠를 이용하여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벽체용은 (주)대로에서 자체 개발한
제주도가 양돈장 등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악취관리지역 지정에 대해 합헌 결정이 나왔다. 헌법재판소는 최근 제주도내 양돈농가들이 악취관리지역 지정과 관련해 청구한 헌법소원심판에 대해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헌법에 위반되지 않는다고 결정했다. 제주도는 2018년 1월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외 10개 지역의 돼지사육시설 59곳 56만1066㎡를 악취관리지역으로 지정하고 고시했다. 이에 제주도내 양돈농가들은 2019년 1월 악취관리지역 지정에 대한 위법성을 주장하며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한바 있다.
‘2021년 사업전진대회’ 온택트 개최 ‘2025년 비전 향해 새롭게 출발하는 해’ 슬로건 양적 No.1 넘어 질적 No.1 추구…끝없이 도전 ㈜팜스코(대표이사 정학상)는 지난달 30일 ‘2021년 사업전진대회’를 온택트로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구성원과 파트너 41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New Start for Vision 2025’(2025년 비전을 향해 새롭게 출발하는 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온라인 화상시스템으로 진행됐다. 온택트(Ontact)는 비대면을 일컫는 ‘언택트(Untact)’에 온라인을 통한 외부와의 ‘연결(On)’을 더한 개념으로 온라인을 통해 대면하는 방식을 가리킨다. 이번 사업전진대회는 코로나19로 정부의 방역지침을 준수하는 가운데 전국의 각 사업장에서 개별로 화상 시스템에 접속해 진행됐다. 새로운 5개년 비전 목표를 발표하고 2021년 경영목표 달성에 대한 의지를 다지기 위해 마련된 이날 행사는 하림타워, 안성, 칠곡, 정읍, 인도네시아 등 각 사업장 관계자들이 호응했다. 특히 140여개 단위별로 화상회의 시스템에 접속해 2020년 실적발표 및 각 본부의 2021년 사업전략 발표, 온라인 쿼터 수여식, 우수사원 시상 등 소통을 통해
돼지고기 가격 변동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돈육선물시장이 올해부터 신규 거래가 중단된다. 지난 6년 동안 거래가 단 한 건도 없을 만큼 시장으로서의 기능을 잃어버렸기 때문이다. 돈육선물시장은 돼지고기 가격 급변동으로 양돈업자를 보호하는 동시에, 일반투자자에게 차익거래 기회를 주기 위해 지난 2008년 개장했다. 개장 첫해 거래 건수는 총 1만6258건, 이후 2년 연속 1만 건이 넘는 거래가 성사됐지만 곧 거래가 급감하더니 2013년 6월 25일 이후 단 한 건도 거래되지 않았다. 개점휴업 상태가 계속되자 결국 올해 1월부터 새로운 결제월의 돈육선물 거래가 중지된다. 기존 상장된 올해 1~6월물은 거래가 되지만 이달 21일에 상장될 7월물부터는 거래가 중단된다. 돈육선물은 4년이 넘게 관리종목에 포함되면서 지난해 7월 도입된 첫 번째 휴면제도의 주인공이 됐다. 한 전문가는 “선물시장에서 거래하려면 기본예탁금이 있어야 되는데 돈육은 처음부터 높게 설정돼 있었다”며 “그게 진입장벽 역할을 했다”고 밝혔다. 시장으로서의 기능은 잃었지만 당장 폐지되는 건 아니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휴면제도라는 게 중간관리 제도가 목적이라서 상품을 리뉴얼한다든지, 시장
충북도가 지역 국회의원과 손잡고 ‘도축세’ 부활을 추진한다고 밝혀 농가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매년 발생하는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AI) 등 가축 전염병 대응에 필요한 재원 확보를 위해서다. 충북도는 지역 국회의원에게 가칭 ‘도축시설 지역자원시설세’ 법안 발의를 의뢰할 예정이라고 지난 6일 밝혔다. 충북도는 2011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과 관련해 축산업 경쟁력 강화, 지방세 세목 체계 간소화 등을 이유로 폐지했던 도축세를 보완해 새 법안을 만든다는 복안이다. 당시 도축세는 소와 돼지 도축업자를 대상으로 도축하는 가축의 시가 1%를 해당 시군에 내도록 했다. 충북도는 세 부과 대상에 소와 돼지 외에 닭과 오리를 추가하고, 도세로 거둬들여 가축 방역 재원 등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이 법안이 신설되면 충북은 연간 203억원의 세수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전국적으로는 연간 1130억원의 세수가 예상된다. 충북도 관계자는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가축 방역에 전국적으로 4조4028억원에 달하는 예산이 소진됐다”며 “국비와 지방비 부담이 가중되는 가운데 축산업계가 비용을 분담하는 차원에서 ‘도축세’ 법안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전남 강진 병영에 ‘돼지불고기거리’가 생겼다. 강진군은 병영면 일원에 돼지고기 관련 음식특화거리를 조성하는 돼지불고기거리 조성 사업을 완료했다고 최근 밝혔다. 작년 5월 전남도 주관 남도음식거리 조성사업 공모에 선정돼 받은 도비 5억원 등 총 10억원을 들여 거리 대표 조형물·안내판, 이용자 쉼터, 벽화, 포토존 설치, 노후 외벽 정비 등 시설 환경을 개선했다. 돼지불고기거리는 병영서가네 식당부터 세류교까지 약 350m 구간이다. 강진군은 관광객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영암, 장흥, 강진읍 진입 방면의 거점 3곳에 병영 돼지불고기거리를 안내하는 거리 안내판을 설치했다. 병영 회전교차로에는 돼지 조형물도 설치했다. 음식거리 중심지인 병영시장 입구에는 황금 소원돼지가 있는 소원돼지 포토존도 만들었다. 강진군 관계자는 “병영 돼지불고기거리에 지속해서 관광객들이 찾을 수 있도록 현재의 관광 추세·변화에 맞춰 볼거리, 놀거리, 먹거리, 체험거리가 있는 강진의 새로운 관광명소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